[나만무] 최종 발표 후기
·
프로젝트/나만무
초고최종 발표가 끝난 지 벌써 5일이 지났다. 푹 쉬고 본가로 돌아갈 준비를 하다가 이제서야 최종 발표 후기를 작성해본다. 기획 확정우리팀은 기획을 정말 매 주마다 갈아엎었다. AI 기반 소비자 여론 분석 플랫폼, 글로벌 둥실둥실 돛단배, 숏츠리스트 플랫폼, AI 동영상 자동 편집 플랫폼.. 매 주마다 기획안을 발표하고 코치님들에게 까이고를 반복하다가 폴리싱 기간을 3주 앞두고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생각하신 코치님이 아이디어를 하나 던져주셨다. 코치님의 의견을 바탕으로 "Hand Detection 기반의 대전 게임"으로 방향성을 잡았다. 여기서부터는 게임에 대한 기획이 문제가 되었다. 게임을 기획하는 데는 특히 "재미"라는 요소가 중요시되었는데 아무래도 "재미"는 개인의 주관의 영역이다보니 피드백을 주..
[크래프톤 정글 2기] Day 118
·
크래프톤 정글 2기
회고 오전 중에 새로운 게임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각자 할 일을 분담한 뒤, 주말 중으로 빠르게 MVP를 만들어 테스트해보기로 했다. 이제 남은 기간은 15일. 선택을 잘 해야 한다. 오후 2시부터는 개발을 더 잘하기 위해 React.js 공부에 들어갔다. 전에 구매했던 Udemy의 강의를 들으며 부족했던 부분을 채웠다. 저번주까지는 훅의 개념과 최적화 등의 개념을 하나도 모른채 마구잡이로 개발하면서 트러블이슈가 너무 많았다. 오늘 하루 리액트에 대한 개념을 최대한 잡고 개발에 들어가면 더 좋을 것이다. 내일부터는 테스트 게임을 빠르게 구현해볼 것이다. 시간 안에 완성할 수 있을지 미지수이지만.. 이제와서 포기할 것도 없다. TIL 1. React.js - 가상 DOM과 실제 DOM의 차이 - 리액트의 r..
[나만무] 2차 발표 후기
·
프로젝트/나만무
후기 2023-07-27 나만무 2차 발표를 마쳤다. 이번에 준비한 것은 저번주와 마찬가지로 "웹 기반 실시간 모션 인식 게임"이라는 틀 속에서 "테트리스"를 붙인 것이다. "뿌요뿌요 테트리스"처럼 테트리스로 1대1 경쟁하지만, 그 조작법이 "Hand Detection"이다. 개발 환경 FE: React.js + Typescript + react-webcam + mediapipe(모션 인식 라이브러리) BE: Node.js(18버전) + express.js + mediasoup(Web RTC 라이브러리) AWS: EC2 모션 인식 오른손을 왼쪽으로 넘기면 블록이 왼쪽으로 1칸 이동하고, 왼손을 오른쪽으로 넘기면 블록이 오른쪽으로 1칸 이동한다. 한손을 회전시키면 블록이 1번 회전하고, 아래쪽으로 내리면 ..
[나만무] 프론트도 어렵다
·
프로젝트/나만무
프론트 업무를 맡은 것이 처음은 아니다. 저번 글리치 해커톤에서 Flutter 개발을 해봤었다. 그러나 제대로된 웹 개발은 처음이다. 그것도 바닐라JS가 아니라 React.js + Typescript로 하다보니 배워야할게 무진장 많다. JS 기초부터 Typescript 문법, HTML, CSS, React.js, 리액트에 타입스크립트 섞는 법 등등.. 그래도 내 선택이니까 불만은 없다. 풀스택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프론트도 할 줄 알아야하니까. 단지 내 생각보다도 프론트가 어려웠을 뿐이다. 제대로 프론트 개발을 접해본 적이 없어서 막연하게 HTML 다루는 거라 쉬울 줄 알았지만 크나큰 오산이었다. 나만무가 시작한지 3주차에 접어들었다. 프로젝트의 와이어프레임을 그리기 위해 Figma툴도 배웠고 프로젝트..
[크래프톤 정글 2기] Day 102
·
크래프톤 정글 2기
회고 6일 만에 TIL을 작성한다. 그동안 너무 많은 일이 있었다. 2023-07-10 ~ 2023-07-14 열심히 준비했던 첫 번째 기획안에서 치명적인 오류가 발견되었고 전부 엎을 수 밖에 없었다. 프로젝트 주제를 가져갈 때마다 퇴짜를 맞은 것이 3번이다. 단순한 토이 프로젝트가 아니라 크래프톤 정글 과정에서 배웠던 것을 보여줄 수 있는 "엔지니어링 실력"을 뽐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주제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도 꽤나 빡센 것 같다. 사업성을 어필하는 자리가 아니지만, 각 협력사 관계자들이 지켜보는 최종 발표를 염두하면, 어느 정도의 사업성을 챙길 필요가 있다. 너무 긱(Geek)해서는 안 된다. 주제 선정 이유도 공감이 갈만한 것이어야 한다. 실력을 보여주기 위해 자기만 쓰고 싶은 것을 개발하는..
[크래프톤 정글 2기] Day 96
·
크래프톤 정글 2기
회고 2023-07-08 ~ 2023-07-09 토스 NEXT 개발자 챌린지: 서버 직무 토스에서 3년차 이하의 개발자들을 채용하는 챌린지이다. 서류 제출도 없이 누구나 챌린지에 도전할 수 있어서 토스의 코테를 맛볼 겸 신청해봤다. 나는 서버 직무를 선택했고 코딩테스트를 진행했다. 알고리즘 문제와 서술형 문제가 출제되었는데, 알고리즘은 생각보다 할 만 했지만 140분 동안 풀기에는 문제가 그냥 많았다. 서술형 문제는 설계 쪽으로 백엔드 경력자가 아니면 제대로 대답하기 어려울 것 같은 문제들이었다. 취업하려면 이런 것들을 대답할 수 있어야 하는건가..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걸 배웠다. 멘토님과 화상 회의 오후 4시부터 멘토님과의 프로젝트 회의(구글 미트)를 진행했다. 진행 상황을 공유하는 데, 아무래도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