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AR Protocol

프로젝트/졸업과제

[졸과][NEAR] 테스트넷 계정 생성

배경 Near Protocol의 Testnet에서 Named Account를 생성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그 결과, 로컬에서 Testnet 계정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near를 보유한 기존 계정의 FAK(Full Access Key)가 반드시 필요한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다는 걸 깨달았다! 계정 생성 흐름 메인넷 Implicit Account 생성은 제한없이 가능 near를 보유한 기존 계정에서 막 생성된 Implicit Account로 near를 송금한다. Account ID를 지정하여 Named Account로 전환한다. 테스트넷 그냥 바로 일정 near를 보유한 Named Account를 생성하면 된다. 메인넷의 생성 흐름을 따를 수도 있다. near-cli Near 공식 문서 NEAR CLI | ..

프로젝트/졸업과제

[졸과][NEAR] Account, State, Smart Contract

배경 니어프로토콜(NEAR Protocol)에서 개발하기 위해 니어를 공부해보기로 했다. 우선 니어에서 내세우는 Named Account에 관한 개념이다. 공식 Docs가 깔끔해서 어렵지 않았다. 커뮤니티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 접근성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니어프로토콜의 Named Account는 읽기 쉽고 생성하기도 간편해서 매력적이다. 정리하고 보니, 우리팀은 현재 서비스를 NEAR Protocol 메인넷에 올릴 계획도 하고 있는데, 일반 유저들의 계정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토큰(최소 0.001near)가 요구된다는 점이 아쉬웠다. 비용 문제보다는 "블록체인도 잘 모르는 웹2 유저들에게 NEAR 토큰을 구매하고 계정으로 옮기는 작업"이 어렵고 복잡하기 때문이다. 계정 생성은 무조건 간단하고 ..

프로젝트/졸업과제

[졸과][NEAR] 왜 NEAR인가

배경 졸업과제에 사용할 블록체인 메인네트워크로 NEAR Protocol을 선택했다. ZK + DID를 기반으로 개인 정보 공개를 최소화한 신원 증명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네트워크를 고려해본 결과이다. 왜 NEAR Protocol인가? NEAR Protocol은 NightShade라 불리는 샤딩 기술을 내재하여 확장성에 대한 블록체인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이다. 또한, 기존의 블록체인들과 달리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의 계정 주소(Named Account)를 지원한다. 이 밖에도 1초 이하의 빠른 트랜잭션 속도나 접근 권한 키를 다양하게 생성하고 하위 계정 생성을 지원하는 등 다른 블록체인들과 차별화되는 여러 장점들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장점들은 DID Method로써 채택하기에도 충분한..

프로젝트/Web3

[Web3] Glitch Hackathon 후기

회고 결론부터 말하자면 2일차 오전 5시부터 4시간 자고, 오전 9시부터 3일차 현재 오후 2시까지 잠을 자지 않은 상태다. 대략 30시간을 잠을 자지 않은 상태로 매우 졸리고 잠깐 눈을 감으면 쓰러질 것 같은 기분이지만, 지난 밤 동안 배운 것을 잊지 않기 위해 몬스터 에너지 음료수를 마시며 TIL을 작성한다. 배운 것을 하나도 빠짐없이 기록하고자 한다. 이번 해커톤 동안 대기업 현직자 형님과 팀을 이룰 수 있었는데 팀업을 하면서 정말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프로젝트 설계 시 시스템을 시각화하면 시스템 로직을 한눈에 볼 수 있어서 구체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협업을 하면서 계속해서 요구사항을 맞추기 위해 팀원과 적극적으로 소통해야 한다. 실제 앱을 런칭해봐야 배울 수 있는 것이 있다! 기획자는 팀..

KimCookieYa
'NEAR Protocol'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