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빗 블록체인
- 사전에 발금된 인증서를 기반으로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 기관(컨소시엄)으로 구성된다.
- 하이퍼레저 프로젝트, R3 Corda(금융), 리플, ...
퍼블릭 블록체인
- 퍼블릭/프라이빗 키만으로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 채굴노드 운영자들로 구성된다.
- 비트코인, 이더리움, 알트코인, ...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릭 블록체인을 섞어 사용하는 네트워크
- 인터블록체인, ...
블록체인 주요 적용분야
- 토큰이코노미(블록체인이코노미)
- CBDC
- DEFI
- NFT
- DID
토큰이코노미(블록체인이코노미)
-
코인과 토큰의 차이
- 코인: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메인넷)를 소유한 경우
- ex) 비트코인, 이더리움, 퀀텀, 스팀, 넴 등
- 토큰: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소유하지 않는 경우
- ex) 이오스, 트론 등
CBDC
-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암호화폐가 아닌, 국가 화폐이다!)
- 중앙 통제를 기반으로 한다.
- 장점: 금융의 투명성과 신뢰성이 높아져, 세금을 걷기 쉬워진다
- 또한,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 단점으로는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다.
Defi
- Decentralized Finance의 약자로, 탈중앙화 금융을 뜻한다.
- 핀테크는 전통 금융서비스가 IT 기술을 활용하여 혁신한 금융이다.
- 핀테크, 체크핀, 디파이, 씨파이 등은 모두 전통 금융서비스를 변화시킨 혁신금융의 또 다른 이름
- 핀테크, 블록체인 핀테크, 다파이(DeFi)가 완벽한 경계선을 유지한채 구분되지 않음
- 디파이(DeFi) 정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스마트 계약 기반으로 가상자산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
- 2020년 즈음 암호화폐 웨이브와 맞물려 시장이 상당히 커졌다.
* 블록체인 핀테크는 법정화폐와 가상자산의 경계에 있음
* 블록체인 핀테크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 법정화폐와 가상자산을 연계한 금융서비스"
1차 핀테크: Fintech(금융거래방식의 혁신)
- 인터넷을 필두로 하여 모바일 기술의 발전, 인공지능,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의 금융기관에서 편리성 증대와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등을 가져온 결과물
2차 핀테크: Techfin(새로운 금융사업자의 탄생)
- 금융기관이 아닌 ICT 기술기업 중심으로 새로운 형태의 금융서비스가 출현한 본격적인 핀테크 시대
- ex)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토스, 네이버페이, 제로페이, ...
3차 핀테크: Blockchain fintech(새로운 지급결제수단의 등장)
- ex) 페이팔, 비자, 마스타
4차 핀테크: DeFi(새로운 금융의 탄생)
- 디파이는 현실 화폐 및 금융 경제와 연결되지 않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그 자체로 금융서비스를 창출
DeFi와 CeFi 정의
- 가상자산을 기반으로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를 디파이 서비스
- 중앙화된 금융 서비스를 씨파이 서비스로 정의한다.
- 법정화폐로 가상 자산을 매수하거나 가상자산을 매도하여 법정화폐로 교환하는 거래는 전통 금융 서비스가 아니라 씨파이 서비스 영역으로
'IT >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정보 보안 (0) | 2022.04.22 |
---|---|
[블록체인] NFT (0) | 2022.04.18 |
[블록체인] 합의(Consensus) (0) | 2022.04.18 |
[블록체인] 블록체인 이론 (0) | 2022.04.12 |
[블록체인] 블록체인이란? (0) | 2022.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