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솔리디티(Solidity)는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하기 위한 "계약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Ethereum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이더리움 기반의 다른 블록체인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특징 스마트 컨트랙트 특화: 블록체인 환경에 특화된 언어이다. 커뮤니티 지원: Ethereum 생태계가 활발해서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도구가 있다. 주의 사항 학습 곡선: 블록체인과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가스 비용: 비효율적인 코드는 높은 가스 비용을 초래한다. 빠른 업데이트: 비교적 새로운 언어이다 보니 업데이트가 빠르게 이루어지면서 문법이나 기능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
회고 오늘은 프록시 서버 구현을 완료했다. 사실 구현을 했다기보다는 이전 정글 기수가 만들어놓은 코드를 그대로 가져와서 이해했을 뿐이다. proxy-lab은 tiny.c를 업그레이드하면 구현할 수 있을 것 같았는데, 시간이 모자랐다. 그래도 최대한 개념과 이론은 숙지하기 위해 CSAPP을 보면서 챗지피티와 교차검증했다. 네트워크에서 소켓과 포트, 프록시 서버란 무엇인가?, 캐싱의 역할은? 등등. 확실히 챗지피티가 개념은 잘 알려준다. 대신 예제 코드를 짜달라고 부탁하면 좀 엉성하게 나온다. 오늘의 저녁은 파스타. 갑자기 파스타가 먹고싶어져서 3명이서 자전거를 타고 시내로 갔다. 만조파스타 겁나 맛있었다. 오후 7시에는 캐치 사이트에서 "블록체인 학회"에 대한 라이브 특강을 들었다. 학회 소속이지만 큰 활..
왜 시작했나? 정말 최근부터 dApp 써보고 싶어졌다. 이전에는 NFT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고 실제 현금이 들어가는 것이라 굉장히 꺼려졌었다. 크래프톤 정글 교육 중에 밥값 때문에 돈이 궁하기도 했고. 생각이 바뀐 계기는 Glitch Hackathon에서 만난 한 팀원 분이다. 평소 웹3 생태계에 관심이 많으신 팀원분은 dApp을 여럿 해보며 투자도 꽤 하신 분이셨는데, 그 중 특히 재밌게 이야기해주신 것이 "STEPN"이다. 1. 재밌을 것 같다! STEPN은 Social-Fi와 Game-Fi를 합친 웹3 라이프스타일 dApp이다. 신발 NFT를 소유한 채로 운동(산책/조깅/러닝 등)을 수행하면, 운동시간 동안 채굴이 진행되는 방식이다. 웹2에서 걸으면서 돈을 번다는 "캐시워크"와 다를 ..
회고 결론부터 말하자면 2일차 오전 5시부터 4시간 자고, 오전 9시부터 3일차 현재 오후 2시까지 잠을 자지 않은 상태다. 대략 30시간을 잠을 자지 않은 상태로 매우 졸리고 잠깐 눈을 감으면 쓰러질 것 같은 기분이지만, 지난 밤 동안 배운 것을 잊지 않기 위해 몬스터 에너지 음료수를 마시며 TIL을 작성한다. 배운 것을 하나도 빠짐없이 기록하고자 한다. 이번 해커톤 동안 대기업 현직자 형님과 팀을 이룰 수 있었는데 팀업을 하면서 정말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프로젝트 설계 시 시스템을 시각화하면 시스템 로직을 한눈에 볼 수 있어서 구체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협업을 하면서 계속해서 요구사항을 맞추기 위해 팀원과 적극적으로 소통해야 한다. 실제 앱을 런칭해봐야 배울 수 있는 것이 있다! 기획자는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