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독서

[독서] 프로덕트매니지먼트의기술 1~2장

KimCookieYa 2024. 6. 30. 02:25

프로덕트매니지먼트의기술 - 1~2장

일시: 2024-06-13 13:00

  • PM, 엔지니어, 디자이너
  • 구글은 인재상에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요구하지않는다.
  • 리더십을 요구한다.
  • 내가 내 일을 할 때는 남을 이끌어야한다
  • PM은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인가
  • 직업을 정의할 때 그 직업만이 해야하는 일을 기준으로.
  • 소프트웨어엔지니어: 코딩으로 본인의 의사를 표현하는 사람
  • 의사는 수술하고 처방전을 쓸 줄 아는 사람
  • 판사는 판결문을 쓸 줄 아는 사람
  • 검사는 공소자을 쓸 줄 아는 사람
  • PM은 프로덕트를 정의할 줄 아는 사람
  • 디시젼은 CEO가 하더라도, 정의는 PM이 해야한다
  • 공통점은 셋 다 프로덕트 정의에 강하다.
  • facility: 촉진하다
  • PM은 서포팅보다는 팀원들을 촉진시킨다
  • 우리나라에서 가장 힘이 센 부서
  • 전략기획부서
  • 기획조정부서
  • PM은 기획과는 관련이 없다
  • 기획은 리더에게 가야한다
  • PM은 매주 60시간씩 일하지 않는다?
  • PM은 40시간 가깝게 일하기 쉽지 않다
  • 프로덕트 매니저와 프로젝트 매니저의 차이점
  • 프로젝트: 스코프, 시작과 끝이 있다. 아웃풋에 들어가는 리소스를 제일 줄이는 것이 프로젝트 매니저의 퍼포먼스이다.
  • 프로젝트 매니저: 남이 정해준 일을 하는 것
  • 프로덕트: 끝이 없다. 문제, 정의, 고객이 있을 뿐.
  • 프로덕트 매니저: 함께 문제를 정의하는 것
  • 프로덕트 오너: 프로덕트 매니저의 일종
  • 개발자의 데일리를 도와주는 팀
  • 쿠팡, 토스는 프로덕트 오너의 정의를 잘못 쓰고 있다.

코어 기술

  • 이해관계자(stakeholder)란?
  • 개발자는 이해관계자와 맥락(컨텍스트)을 유지할 수 없다.
  • 이 맥락을 유지하기위해 PM이 있다.
  • 개발자가 릴리즈할 때는 굉장히 많은 커뮤닡케이션이 필요하다
  • 리서치: 사용자의 현실에서 사는 것
  • execution: 일의 맺고 끊음을 확실히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