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NFT
블록체인 1세대: 참여자에게 내용을 공유하는 분산형 디지털 장부
블록체인 2세대: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해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으로 확대
블록체인 2세대 + 3세대: 참여와 보상을 기반으로 토큰 이코노미(도입)
블록체인 3세대: 블록체인의 성능과 효율성을 높이기위해, 기술을 융합
ex) CBDC, DeFi, NFT, DID
NFT(Non Fungible Token)
- 토큰마다 고유한 값을 가지고 있어, 대체할 수 없는 고유한 토큰을 의미한다.
- NFT의 발행헤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ERC(Ethereum Request for Comment) 721 프로토콜을 사용
- NFT를 활용하면 자산의 희소성 보장 및 원본성 증빙이 가능하고, 소유자 정보와 거래 이력 등 데이터의 위변조가 불가능하여 무결성 확보가 가능하다.
NFT 성장
- NFT의 거래는 2020년 하반기(암호화폐 2nd Wave)에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21년 상반기에 25억 달러가 거래됨
NFT 활용
- 다양한 분야와 영역의 기업들이 NFT를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또는 서비스, 인프라 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실제 비즈니스에 이용하는 사례 등장
- 온라인 게임, 메타버스 등 가상 환경과 미술품, 예술품 등 거래에 NFT를 활용
-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환경에도 NFT를 도입하여 NFT 거래소가 신설되고 DeFi 등과 융합된 새로운 금융서비스의 연구가 진행
NFT 한계점
- 가상자산의 높은 변동성, 현물 시장과 가상자산 시장 간의 소통 부재
- 법정 화폐와 가상 자산 간의 가치를 비교하는데에 문제가 생긴다.
제도 개선
- NFT가 실물 경제에 편입되기 위해서는 법/제도 측면에서 의무와 권한이 행사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필요
- NFT를 포함한 가상자산의 재산권 보장을 위한 특금법과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전자문서법, 저작권법 등의 개정 필요
가상자산이 실물 경제에 주는 거부감
- 블록체인의 사회적 수용도 제고를 위하여 기존 시스템과 제도가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변화를 제안하고 기술의 고도화 추진 필요
코인(Coin)
- 화폐와 같이 사용되는 것이며 경제 활동의 지불과 결제 수단으로 사용
- 발행 시 채굴 과정을 거쳐 발행되고, 블록체인 기반의 고유의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생테계를 구축/소유하고 있음
- ex) 비트코인, 이더리움, 퀀텀, ...
토큰(Token)
- 코인과 달리, 메인넷이 없어 기존 코인들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수수료 등의 대가를 지불하고 대여함
- 주식과 같이 발행자가 공급량을 조정하는 ICO, IEO 등의 방식으로, 정해진 발행량으로 배포되는 것이 특징
- ex) 스팀, 테더, 보라, ...